2019 공원학개론은 공원의 역사와 의미를 기록, 기억, 보관하는 공원 아카이브에 대해 함께 이야기하고자 합니다. 공원을 사랑하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.
[프로그램]
* 1회차: 10/18(금) 16:00~18:00, 보라매공원 동부공원사업소 2층 보람홀
공원 아카이브란?(사회: 최혜영)
– 공원 아카이브의 범위와 필요성 (조경진, 서울대학교)
– 현장에서 배운 아카이브 이야기 (전미정, 기억발전소)
* 2회차: 10/19(토) 14:00~16:00, 보라매공원 동부공원사업소 2층 보람홀
공원 아카이브 사례와 활용(사회:박희성)
– 해외 공원 아카이브의 사례 (김정화,서울시립대학교)
– 문화비축기지 아카이브의 구축과 활용 (최윤정,문화비축기지)
* 3회차: 11/8(금) 16:00~18:30, 서울숲공원 서울숲이야기관
공원 아카이브의 현안과 가능성(사회: 길지혜)
– 월드컵공원 아카이브 동기와 의미 (이정아, 서부공원녹지사업소)
– 서울숲 아카이브의 현안과 이슈 (이한아, 서울그린트러스트)
– 공원 아카이브의 방향 (이명준, 기술사사무소이수 연구소)
* 4회차: 11/9(토) 14:00~16:30, 서울숲공원 서울숲이야기관
함께 하는 공원+문화 아카이브 (사회: 서영애)
– 가파도, 일상의 장소 (윤희영, 원오원아키텍츠)
– 문화역 284전시 기획과 아카이브 (전미연, 문화역 284)
– 한국 근대화와 도시건축 아카이브 (박성태,정림건축문화재단)
2019 공원학개론은 공원의 역사와 의미를 기록, 기억, 보관하는 공원 아카이브에 대해 함께 이야기하고자 합니다. 공원을 사랑하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.
[프로그램]
* 1회차: 10/18(금) 16:00~18:00, 보라매공원 동부공원사업소 2층 보람홀
공원 아카이브란?(사회: 최혜영)
– 공원 아카이브의 범위와 필요성 (조경진, 서울대학교)
– 현장에서 배운 아카이브 이야기 (전미정, 기억발전소)
* 2회차: 10/19(토) 14:00~16:00, 보라매공원 동부공원사업소 2층 보람홀
공원 아카이브 사례와 활용(사회:박희성)
– 해외 공원 아카이브의 사례 (김정화,서울시립대학교)
– 문화비축기지 아카이브의 구축과 활용 (최윤정,문화비축기지)
* 3회차: 11/8(금) 16:00~18:30, 서울숲공원 서울숲이야기관
공원 아카이브의 현안과 가능성(사회: 길지혜)
– 월드컵공원 아카이브 동기와 의미 (이정아, 서부공원녹지사업소)
– 서울숲 아카이브의 현안과 이슈 (이한아, 서울그린트러스트)
– 공원 아카이브의 방향 (이명준, 기술사사무소이수 연구소)
* 4회차: 11/9(토) 14:00~16:30, 서울숲공원 서울숲이야기관
함께 하는 공원+문화 아카이브 (사회: 서영애)
– 가파도, 일상의 장소 (윤희영, 원오원아키텍츠)
– 문화역 284전시 기획과 아카이브 (전미연, 문화역 284)
– 한국 근대화와 도시건축 아카이브 (박성태,정림건축문화재단)